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체성사3

<성목요일> 사제의날과 성체성사의 제정 성목요일, 교회가 시작된 날 이전 글 먼저 보기👉 성목요일 전례의 특징 – 발씻김 예식부터 성체조배까지성목요일 밤, 단순한 만찬 이상의 전례가 펼쳐졌습니다. 그날 밤 예수님께서는 두 가지 거룩한 선물을 우리에게 남기셨습니다. 바로 성체성사와 사제직입니다. 성체성사 - 사랑을 먹고 살아가는 신앙의 중심 성체성사는 가톨릭 신앙의 중심입니다. 예수님께서 빵과 포도주를 들어 당신의 몸과 피로 바꾸시며 말씀하셨습니다.“이는 너희를 위하여 내어 주는 내 몸이다.”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 (루카 22,19) 이 장면은 단순한 은유가 아닙니다. 실제로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되는 거룩한 변화가 이뤄진 최초의 순간이었습니다.매 미사마다 이 말씀은 반복되고, 신자들은 성체를 통해 예수님의 생명과 사랑.. 2025. 4. 14.
<가톨릭 7성사> 의미와 순서를 알아보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은총을 베푸는 거룩한 행위,  7성사를 아시나요?   가톨릭 7성사란?  성사(Sacrament)란, 보이는 예식을 통해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은총을 베푸는 거룩한 행위 입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셨으며, 교회를 통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1. 입문성사인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2. 치유성사인 고해성사, 병자성사3. 공동체성사인 성품성사, 혼인성사 이 성사중 평생 한번만 가능한성사와 계속 지속가능한 성사가 있습니다.무엇일까요? ✅ 세례 성사, 견진성사  평생 단 한 번만 받으며, 그 외 성사는 일정한 자격 요건에 따라 반복될 수 있습니다 (예: 고해, 성체 성사).   7성사 자세히 알아보기 ✅세례성사 원죄를 씻고 하느님의 자녀가 되어 교회의 일원이 되는 성사입니.. 2025. 3. 28.
가톨릭 <성체분배권>이란? 평신도가 가능한 사명 가톨릭 성체분배권 알아보기 성체분배권은 가톨릭 교회에서 성체성사 중 영성체를 신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합니다. 원칙적으로는 사제(신부)와 부제만이 이 권한을 지니고 있으나, 특수한 상황에서는 평신도도 ‘비정규 성체분배권자’로 위임받아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출처 수원교구 공식홈페이지 홍보국 자료  왜 평신도에게 성체분배권을?  가톨릭 교회의 원칙에 따르면, 성체는 성품성사를 받은 사제와 부제가 가장 정당한 분배자입니다. 그러나 신자 수가 많아 성체 분배에 실질적 어려움이 있는 본당의 경우, 본당 주임신부의 추천과 교구장의 허락을 통해 ‘비정규 성체분배권자’를 위임할 수 있습니다.이는 신자들의 원활한 영성체 참여와 전례의 품위 유지를 위한 보조적 역할입니다.✅기간: 일반적으로 2년간 유.. 2025. 3. 21.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

📢 이 블로그의 새로운 주소
👉 여기로 방문하세요!
  • 블로그 새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