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천주교기도문 가정기도문 – 부부의 사랑과 일치, 지향기도 👉 이 글에서는 가정기도문을 공유합니다. 부부의 사랑과 일치2025년 가정기도는 주교회의 가정과 생명 위원회에서 발간한 「혼인 교리서」를 중심으로 부부가 함께 혼인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도록 안내하며 혼인과 그 토대 위에 세워진 가정의 존엄을 보호하고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준비하였습니다. 예수님의 사랑을 발견하고 가정과 공동체, 그리고 우리의 교회에 복음의 기쁨이 살아 숨 쉴 수 있도록 신앙이 전수되는 가정 공동체를 이루시기를 바랍니다 👉 가정기도문 보기 가정기도 시작하기 • 가족이 함께 기도할 수 있는 시간을 미리 정한다.• 기도상, 십자고상, 초, 성경, 혼인교리서 준비 ※ 모임 중에는 상대의 말을 귀담아 듣고 훈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 1. 시작기도2. 혼인교리서읽기3. 지향4. 파.. 2025. 7. 6. 가뭄과 장마 때에 바치는 기도문 가뭄과 장마 때에 바치는 기도문 해마다 반복되는 극심한 가뭄과 집중호우, 장마 피해는우리가 자연 앞에서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그리고하느님의 섭리 안에 살아가야 함을 다시금 깨닫게 합니다.논밭이 메말라가고, 갑작스러운 폭우로 생명이 위협받는 이때,믿는 이들은 하늘을 향해 자비를 청하고, 은총의 단비와 평화를 기도합니다.지금 이 순간, 우리 모두의 기도가 모여자연과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길이 열리기를 바라며‘가뭄과 장마 때에 바치는 기도’를 아래에 공유드립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기⬇️👉 기도문 보기👉 가톨릭 축일 정리 모음👉 가톨릭 9일 기도문 모음 🙏가뭄과 장마 때에 바치는 기도○ 만물을 창조하시고 다스리시는 하느님, 이 가뭄(장마)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희를 불쌍히 보시고 .. 2025. 6. 24. 예수성심 호칭기도 <6월은 예수성심성월! 기도해요!> 예수성심성월기도문과 호칭기도 모두 바치면 좋습니다6월은 가톨릭 전례력에서 예수 성심 성월로 지내는 은총의 시기입니다.예수님의 사랑과 자비를 깊이 묵상하며, 그 거룩한 성심께 우리 마음을 봉헌합니다.예수 성심 호칭 기도는 그분의 마음을 찬미하고 따르기를 바라는 간절한 기도입니다.기도 안에서 예수님의 겸손과 온유함을 닮고자 노력해봅시다.이 기도를 통해 주님의 자비를 더욱 깊이 체험하시기를 바랍니다.6월 예수성심성월을 맞아, 우리 모두 주님의 사랑을 더욱 깊이 묵상해봅시다.특히 예수 성심 호칭 기도는 성심의 무한한 자비와 사랑을 되새기는 귀한 기도입니다.아래에 소개된 기도를 천천히, 정성껏 바치며 예수님의 마음에 저희 마음을 닮게 해주시길 청해봅니다.각 구절마다 우리 마음의 문을 열고, 주님의 사랑을 받아들일.. 2025. 6. 3. <프란치스코> 교황을 위한 9일기도 (기간/구성/시간/기도문공유) 글을 읽기 전,2025년 4월 23일, 주교회의는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영원한 안식을 위한 기도문을 공유하겠습니다. 아래는 교황님의 유언 말씀입니다. 주님께서 나를 사랑해 주고 나를 위해 계속 기도해주는 모든 이들에게합당한 상을 내리시기를 빈다.내 삶의 마지막을 채운 이 고통은 세상의 평화와 인류의 형제애를 위해주님께 바친다.🕊️ 교황님의 뜻을 기억하며,아래 교황님의 영원한 안식을 위한 기도를 오늘 함께 바치는건 어떨까요? 👉 프란치스코 교황의 영원한 안식을 위한 기도 바치기 🙏 프란치스코 교황을 위한 9일 기도 (2025.04.26~05.04)2025년 4월 21일,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큰 슬픔을 안겨준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선종 소식이 전해졌습니다.이에 따라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4월 2.. 2025. 4. 25. <삼종기도> 하는방법과 이유는? 하루 세 번, 하느님과 성모마리아를 기억하는 순간이 있다면, 그것이 바로 삼종기도입니다. 가톨릭 삼종기도 삼종기도는 ‘하루 세 번’ 바치는 기도라는 뜻을 담고 있어요.전통적으로 아침 6시, 정오 12시, 저녁 6시, 교회의 종소리에 맞춰 성모 마리아의 응답과 예수님의 강생을 묵상하며 바칩니다.이 기도는 중세 시대 수도자들에게서 시작되어, 오늘날까지도 교황청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정오마다 바쳐지고 있습니다. 삼종기도는 천주교 신자들에게 익숙하면서도, 알고보면 매우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 전통적인 기도입니다. 이 기도는 단순한 기도가아니라, 하느님의 강생과 성모마리아의 응답, 그리고 그분의 구원 계획에 나 자신이 참여하는 신앙행위로 이어집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삼종기도를 바쳐야 하나요? 삼종기도를.. 2025. 4.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