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천주교, <삼종기도> 전체 기도문 읽어보기 가톨릭 삼종기도를 아시나요?삼종기도는 천주교 신자들이 하루 세 번, 아침 6시, 정오 12시, 저녁 6시에 성모 마리아의 응답과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 신비를 기억하며 바치는 전통적인 기도입니다.중세 수도자들로부터 시작된 이 기도는 오늘날에도 신앙인의 하루를 하느님 안에서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중요한 신심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아래는 삼종기도 전체 기도문입니다. 인도자(○), 응답자(●) 표기를 포함하여 실제로 함께 기도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삼종기도 바치기  + 성호경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주님의 천사가 마리아께 아뢰니● 성령으로 잉태하셨나이다.성모송 ●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2025. 4. 7.
천주교 여자 세례명 인기 BEST 10 클래식한 천주교 여자 인기 세례명을 공유해봅니다. 어른들 사이에서 조금 흔하다고 할수있는 세례명이지만, 요즘엔 흔하다는 인식으로 많이 사용하지 않아서 오히려 점점 선택하는 사람이 많이 없는 세례명 인 것 같습니다. 🙏 마리아 Maria축일1월 9월 12월 의미 예수님의 어머니, 하느님의 가장 완전한 협력자, 성가정천주교에서 가장 사랑받는 대표적인 세례명이다. 요즘엔 마리아가 너무 흔한 느낌이라 마리스텔라라는 세례명을 많이 한다. 하지만 마리아라는 세례명이 많이 사라지는 요즘 마리아를 선택해보는게 어떨까? 데레사 Teresa대표성인아빌라의 데레사, 소화데레사의미기도와 내적 성찰의 모범신심이 깊은 여성들이 자주 선택 루치아 Lucia축일 12월 13일 의미빛을 뜻하며 순교자의 상징눈을 수호하는 수호성인.. 2025. 3. 31.
<명동성당> 한식 합동위령 미사안내 - 자세히 알아보기 다가오는 4월 5일(토요일)은 우리 민족의 전통 4대 명절 중 하나인 ‘한식(寒食)’입니다.  한식 합동 위령 미사 안내 한식은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오랜 세월동안 조상을 기리고, 고인을 추모하는 뜻 깊은 날로 여겨져 왔습니다. 서울 명동대성당에서는 한식 당일, 오전미사를 합동위령미사로 봉헌하며, 세상을 떠난 조상, 부모, 가족, 은인들을 위한 기도의 시간을 마련합니다.  한식 합동 위령 미사 안내날짜: 2025년 4월 5일 (토요일) 미사 시간: 오전 7시 오전 10시 장소: 명동대성당 미사 예물 접수 방법 고인을 위해 위령 미사 예물을 봉헌하실 분들은 다음 방법 중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1. 사전 접수 기간: 2025년 4월 4일(금)까지 장소: 명동대성당 본당 사무실 2. 현장 봉헌 한식 당일.. 2025. 3. 31.
<명동성당> 2025년 성체조배 일정안내 - 자세히 알아보기 매월 첫 번째 목요일, 명동대성당에서는 정순택 베드로 대주교님(서울대교구장)과 함께하는 성체조배가 거행됩니다. 2025년 성체조배 일정 안내 성체조배는 매월 첫째 주 목요일, 저녁 미사 후 대성전에서 거행됩니다.📅 상반기 일정1월 2일 2월 6일3월 6일4월 3일5월 1일6월 5일 📅 하반기 일정7월 3일8월 7일9월 4일10월 2일 11월 6일12월 4일⏰ 시간 안내미사 시간: 오후 7시성체조배 시작: 오후 7시 40분마무리 시간: 오후 8시 30분 마무리 복잡한 일상 속에서 매달 단 한 번, 예수님 앞에 머무르며 고요히 머물 수 있는 시간, 그것이 성체조배입니다. 특히 교구장님의 인도로 함께하는 조배 시간은 서울대교구 신자들에게 특별한 은총의 시간이 될 것입니다.피정하는 마음으로 참여하셔서, 하.. 2025. 3. 31.
<명동성당> 사순시기 고해성사 및 집중 판공안내 2025년 사순 시기를 맞아 명동대성당에서는 고해성사와 부활 판공성사 일정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신자분들께서는 아래 일정을 참고하여 은총의 시간에 함께하시길 바랍니다. 사순시기 고해성사 안내 성사표 배부 시작일: 3월 5일(수)부터 성사 인정 기준: 재의 수요일(3월 5일) 이후에 보신 고해성사는 부활 판공성사로 인정됩니다. 성사표 배부 장소: 본당 사무실 성사표 제출 안내: 성사를 본 후 받은 성사표는 반드시 다시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성사표 없이 판공성사를 보셨다면, → 본당 사무실에 방문하시거나 전화로 알려주시면 성사 기록을 전산에 입력해드립니다.⏰ 상설 고해소 운영 시간을 참고하여 4월 16일(수)까지 판공성사를 꼭 마치세요. 2025년 부활 집중 판공성사 일정기간 4/.. 2025. 3. 31.
성모송, 성모찬송, 성모호칭기도 읽어보자 <기도문 전문 공유> 천주교 신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성모님께 기도드린 경험이 있으실 거예요.특히 성모성월(5월)이나 묵주기도를 드릴 때, 또는 위로와 희망이 필요할 때 많은 분들이 성모님께 전구를 청하죠.오늘은 신자분들이 자주 찾는 성모님께 바치는 대표 기도문을 소개해드릴게요. 공유하거나 기도생활에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성모송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기도입니다. 묵주기도의 중심이 되는 기도입니다.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천주의 성모 마리아님,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성모찬송 ○ 모후이시며 사랑이 넘친 어머니, 우리의 생명, 기쁨, 희망이시여,● 당신 우러러 하와의 그 자손들이 눈.. 2025. 3. 31.
<가톨릭> 성물 축복받는 방법 천주교 신앙생활을 하다 보면 묵주, 메달, 성화 등 다양한 성물(聖物)을 사용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성물은 단순한 장신구나 장식이 아니라, 하느님의 은총을 더욱 깊이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 신앙의 도구입니다.그렇다면 이 성물은 어떻게 하면 더욱 신앙적으로 의미 있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바로 성물 축복을 받는 것입니다. 성물 축복이란?천주교에서 말하는 '성물 축복'(Blessing of sacramentals)은, 신앙의 표징인 성물을 하느님께 봉헌하며 신자들에게 영적인 유익을 주도록 기도하는 예식입니다.참고: 흔히 ‘성물 축성’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전례적으로 정확한 표현이 아닙니다.‘축성(祝聖, consecration)’은 성당, 제대, 성체 등 전례를 위한 공간이나 대상에 사용하.. 2025. 3. 31.
천주교용어 <성물>이란 무엇인가? (+성물방) 성물은 성사와 구별되며, 교회의 전구를 통해 신자들이 성령의 은총을 더 깊이 받도록 돕는 표징이다. 천주교 성물이란? 성물은 성사(Sacrament)와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하느님의 은총을 더 깊이 체험하도록 도와주는 교회가 축복하거나 사용하는 거룩한 표징입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1667~1679항)에서도 성물은 이렇게 정의한다. “성물은 성사와 구별되며, 교회의 전구(轉求)를 통해 신자들이 성령의 은총을 더 깊이 받도록 돕는 표징이다.”천주교 성물의 종류는? ✅묵주성모 마리아께 전구를 청하며 기도할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성수와 성수통축복된 물로서 악을 물리치고 정화를 상징함✅성체조배용 십자가개인 기도 또는 성체조배 시 중심이 되는 십자가✅성화 및 성상예수님, 성모님, 성인들의 모습.. 2025. 3. 31.
천주교 전시회 추천 <기쁨을 만나다> 사순 시기, 고통 아닌 희망의 메시지를 담다‘Laetare–기쁨을 만나다’ 전시는 2025년 3월 27일 개막해, 5월 9일까지 서울 삼성동 갤러리 보고재에서 무료 관람이 가능합니다. 사순시기, 왜 기쁨일까? 사순 시기는 전통적으로 고통과 절제, 희생을 묵상하는 시간입니다. 그러나 이번 전시는 조금 다른 시선에서 출발합니다. 바로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에 동참함으로써 오히려 ‘기쁨을 회복하는 여정’이 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습니다.전시 제목인 Laetare는 라틴어로 “기뻐하라”는 뜻이며, 실제로 장미주일은 사순 시기 속 작은 ‘기쁨의 주일’로 알려져 있죠. 이 전시는 그 의미를 시각예술로 표현하며 관람객들에게 묵상과 위로를 동시에 건넵니다. 전시 참여 작가 소개 총 6명의 중견 작가들이 참여하여, .. 2025. 3. 31.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