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성목요일> 발씻김예식 묵상과 복음 오늘도 예수님은 나의 발을 씻기십니다. 성경 속 성목요일 이야기 성목요일 밤,말씀에서는 예수님의 사랑이 가장 극적으로 드러납니다. 바로 '최후의 만찬'과 '발씻김 예식' 입니다. 최후의 만찬 – 몸과 피를 나누신 사랑“이는 너희를 위하여 내어주는 내 몸이다.” “이는 너희를 위하여 흘리는 내 피다.” (루카 22,19-20) 예수님은 자신을 배신할 자가 있는 것을 알면서도, 모든 제자에게 빵과 포도주를 나누어 주셨습니다.그 사랑은 조건이 없고, 계산이 없습니다. 그분은 자신을 완전히 내어주시는 ‘사랑의 성사’를 남기셨습니다. 발씻김 예식 – 낮아지심의 절정“내가 너희의 발을 씻었으니, 너희도 서로의 발을 씻어 주어야 한다.” (요한 13,14) 예수님은 제자들의 발을 씻기셨습니다. 그 중에는 곧 배신.. 2025. 4. 14.
성주간에서 <성목요일>의 위치 성삼일의 문을 여는 거룩한 시작성목요일 성주간이란 무엇인지 아나요?성주간은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부활을 기념하는 가톨릭 교회의 가장 거룩한 일주일입니다.🙏 주님 수난 성지 주일(종려주일)로 시작해서 🙏 성목요일, 성금요일, 성토요일을 지나 🙏 부활 대축일로 절정을 맞이합니다. 이 일주일은 단순한 시간의 흐름이 아니라 예수님의 고난과 구원을 함께 체험하는 ‘신앙의 여정’ 입니다.성목요일, 성삼일의 시작점성주간의 전례는 성목요일 밤 주님 만찬 미사로부터 본격적으로 성삼일이 시작됩니다. ✅성목요일최후의 만찬, 성체성사와 사제직 제정, 성체조배 시작✅성금요일 십자가 경배, 예수님의 죽음 기념 (미사 없음) ✅성토요일 부활성야까지의 기다림과 침묵 ✅부활대축일 예수님의 부활, 기쁨의 절정📍 성목요일은 부.. 2025. 4. 14.
<성목요일> 성체조배란 무엇인가요? 성 목요일 밤,우리는 어디에 있어야 할까요? 밤새 이어지는 성체조배! 지난 글에서 이어집니다. 👉 사제직과 성체성사의 제정 – 성목요일, 교회가 시작된 날성목요일 미사가 끝난 후, 신자들은 성당 안에서 조용히 무릎을 꿇습니다. 성가도 꺼지고, 종소리도 멈추고, 이제 남은 건 성체 앞에 머무는 시간입니다.이것이 바로 성체조배입니다. 성체조배는 무엇인가요?성체조배란,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최후의 만찬을 나누신 후, 겟세마니 동산에서 고통스럽게 기도하시던 순간을 함께 기억하는 기도 시간입니다.“너희는 나와 함께 깨어 있어라.” (마태오 26,38) 예수님은 붙잡히시기 전 밤, 제자들에게 함께 기도하자고 요청하셨지만, 그들은 모두 잠들고 말았습니다.오늘 우리는 그 잠든 제자들이 아닌, 깨어 있는 신자가 되.. 2025. 4. 14.
<성목요일> 사제의날과 성체성사의 제정 성목요일, 교회가 시작된 날 성체성사 - 사랑을 먹고 살아가는 신앙의 중심성체성사는 가톨릭 신앙의 중심입니다. 예수님께서 빵과 포도주를 들어 당신의 몸과 피로 바꾸시며 말씀하셨습니다.“이는 너희를 위하여 내어 주는 내 몸이다.”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 (루카 22,19) 이 장면은 단순한 은유가 아닙니다. 실제로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되는 거룩한 변화가 이뤄진 최초의 순간이었습니다.매 미사마다 이 말씀은 반복되고, 신자들은 성체를 통해 예수님의 생명과 사랑에 참여하게 됩니다. 사제직- 성체성사를 지켜내는 손예수님은 단지 성체성사를 제정하신 것이 아니라,그 성사를 후대까지 이어갈 수 있도록 사제직을 함께 세우셨습니다.최후의 만찬에서 그분은 제자들에게 명하셨습니다.“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 2025. 4. 14.
<성목요일> 전례의 특징 - 자세히 알아보기 <미사 전 읽어보기 추천> 발씻김 예식부터 성체조배까지, 사랑으로 완성된 미사 성목요일 미사가 특별한 이유는? 성목요일 밤, 가톨릭 전례에서는 매우 특별한 미사가 거행됩니다. 이 미사는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나눈 최후의 만찬을 기념하며, 그분의 사랑과 봉사를 가장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시간입니다.특히 이 미사는 ‘성삼일’의 시작이기도 하며, 보통의 미사에서는 볼 수 없는 몇 가지 전례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발씻김 예식 - 섬김의 본보기 성목요일 미사 중 가장 독특하고 감동적인 순간은 바로 발씻김 예식입니다.예수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며 “내가 너희에게 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하여라” (요한 13,15)라고 하신 그 장면을 본받아, 사제가 12명의 신자들의 발을 직접 씻기는 전례가 이루어집니다.▶️ 이 전례는 겸손과 섬.. 2025. 4. 14.
<가톨릭 성목요일> 중요한 이유, 의미와 유래 가톨릭 성주간주님만찬 성목요일, 우리가 기억해야 할 사랑의 시작 성목요일이란 무엇인가요?성목요일(聖木曜日)은 가톨릭 전례력에서 성주간 중 가장 특별한 날 중 하나로, 예수님께서 최후의 만찬을 제자들과 나누신 날입니다.이날은 단순한 식사의 날이 아닌, 예수님께서 사랑의 유산을 남기신 날로 기억됩니다. 그분은 성체성사를 제정하시고,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며 사제직과 사랑의 봉사를 시작하셨습니다.왜 '성' 목요일 일까요?가톨릭에서 '성'이라는 표현은 하느님과 특별히 연결된 거룩한 시간을 가리킵니다. 성목요일은 단순한 목요일이 아니라, 예수님의 사랑과 구원이 드러난 ‘거룩한’ 목요일이기 때문에 이름 앞에 ‘성(聖)’이 붙습니다.또한 이날부터 예수님의 수난과 부활을 기리는 ‘성삼일(聖三日)’이 시작됩니다.자세한.. 2025. 4. 14.
[가톨릭 성지주일] 중요한 예루살렘 입성과 수난복음 읽는이유 ✝️ 성지주일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과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들은?성지주일(주님 수난 성지 주일)은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사건을 기념하는 날로, 매년 주님 부활 대축일 전 주일, 즉 성주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날입니다. 오늘은 왜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셨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 신앙 안에서 어떤 가르침을 주는지 함께 묵상해보겠습니다.왜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셨을까?예루살렘은 단순한 도시가 아닙니다. 하느님의 도성, 성전이 있는 곳, 그리고 유다 백성에게는 하느님의 구원이 이루어질 장소로 여겨졌습니다.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들어가신 이유는 명확합니다.1. 하느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서예수님은 하느님께서 인류를 구원하시려는 계획을 이루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향하셨고, 십자가의 길을.. 2025. 4. 14.
<천주교 연도> 기도문 전체 (ft. 위령기도 장례식장기도) 천주교 장례식에서 진행되는 연도기도문을 아래에 공유합니다. 연도 시작하기 문상하는 신자들은 애도의 뜻으로 소박하고 정중한 복장을 하여 예의를 갖춘다.상가에 도착하면 빈소에 가서 성수를 뿌리고 분향한다. 그러고 나서 절한 다음(또는 적당한 다른 예의를 표한 다음), 상주에게 절을 하며 위로의 말을 건넨다. 만일 여러 사람이 함께 문상을 갔으면 대표 한 사람만 나가서 예를 표한다.그러고 나서 신자들은 다른 문상객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알맞은 자리에서 고인을 위하여 기도한다.사제가 주례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하느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내리시는 은총과 평화가 여러분과 함께.◎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평신도가 주례할 때에는 십자 성호를.. 2025. 4. 9.
<천주교> 장례식장 예절과 장례절차 공유 복장, 성수, 연도기도까지 고인을 위한 마지막 기도천주교 장례는 단순한 이별이 아닌, 하느님의 자비를 청하며 고인의 영혼을 위한 기도의 자리입니다. 장례식장에 방문할 때 꼭 알고 있어야 할 천주교만의 장례 예절과 도움을 주는 단체, 기도 방식, 그리고 연도(煉禱) 기도에 대해 정리해드립니다.천주교 장례절차는? 천주교 장례절차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1. 연도기도 - 고인의 영혼을 위해 함께 바치는 기도 2. 입관예절 - 기도하며 고인을 관에 모시며 기도3. 장례미사 - 고인을 위해 봉헌하는 미사 4. 하관예절 - 장지에서의 마지막 작별과 기도 보통의 조문객이 가장 자주 접하게 되는 절차는 연도와 장례미사 입니다. 보통 연도는 한시간 단위로 구역별로 지정시간에 방문해 기도합니다. 복.. 2025. 4. 9.
728x90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